Tuesday, October 28, 2025

상환과 되줌


'신세지움'의 구조로 창출된

신용이라는 이름의 빚은

숫자로 계량화되어

이자와 원금의 기한 내 상환을 약속해야 한다.

 

그 약속은 법적인 청구권으로 둔갑하고,

상환이라는 청구권의 행사는

이미 갚은 신용에 대한 불법적인 이중청구가 되어

부의 부당한 이전과 흐름의 단절을 낳는다.

 

그리하여 자()의 중력장은

흐름을 멈추고관계를 닫아버린다.

신용은 생명을 잃고,

숫자와 빨림만 남는다.

 

반면, ‘신세짐의 구조로 창출된

신용이라는 이름의 빚은

상환이 아닌 되줌으로 다시 피어난다.

 

그것은 너에게서 받은 것을

다시 세상으로 흘려보내는 일이고,

줌이 다시 되줌으로 이어지는 울림의 연쇄다.

 

그리고  되줌의 순간,

빨림은 살림으로 전환되어,

흐름이 다시 이어지고,

닫혀 있던 관계가 다시 열린다.

Sunday, June 22, 2025

Money Power Manifesto for the Digital Age

 A Letter to Ourselves — We Who Forgot the Essence of Money

I.    Prologue: Where Did We Lose Our Way?

Today, humanity calls digital signals made of numbers and data “money,” believing them to be wealth and power. Banknotes and coins are mere shadows; all our exchanges now depend on digital records and signals.


Yet we have forgotten: money was never meant to be mere numbers. It began as a token of beholdenness—a record of someone’s generosity, of what was freely given and gratefully received. Wealth was not the accumulation of objects, but the circulation of relationships woven through gratitude.


Now we must ask again: how did we forget beholdenness, and become captive to indebtedness?


The answer lies in the origin of life  in humanity’s fundamental condition of lack or built-in scarcity. In nature, plants generate energy through chloroplasts. Animals, however, must extract energy from external matter using mitochondria.


Humans were born into this same "dependent nutrition" system(as heterotrophs — a system of dependent nutrition). Because we lacked self-sufficiency, we learned to desire what belonged to others  and to justify taking it.


Over time, this biological limitation solidified into a mindset of lack. Civilization took shape around competition, possession, and plunder, creating a structural economy of dependence.


And at the heart of this system was money  no longer a symbol of beholdenness, but a tool of control through indebtedness.

II.    The Insight of Hwanung*: Remembering Shinshi**

Yet 6,000 years ago, some ancestors who followed the teachings of Hwanung discovered a different path for humanity.


They realized that scarcity is not an external reality but a limitation of inner perception. True abundance is born not from accumulation, but from giving and re-giving(sharing).


They opened a new path. They built Shinshi, the radiant “economy of circulation,” founded on beholdenness. It was a living system of relationships in which voluntary surrender and gratitude flowed naturally as energy through a communal ledger.


At the center of that economy stood the token of beholdenness. These were not instruments of ownership, coercion, or physical transaction — they were records of care.

 

Just as food or labor given to the community returned later as care, the token simply preserved and reminded people of this flow. 


It carried the promise: “I have yielded for the sake of another. And you, too, shall yield for someone else.” This trust and this cycle were the true essence of communal wealth.


*Hwanung(桓雄): the ancient ancestor of Koreans.      **Shinshi(神市): a divine city

III.    The Inversion of Currency: From Beholdenness to Indebtedness

But once again civilization lost its way. When the issuing of tokens was taken from individuals and placed in the hands of so-called “trusted institutions,” money ceased to be a promise of community and became a tool of domination.


Initially justified as a safeguard against fraud, and later as a necessity for “public trust,” currency issuance became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the powerful few.

 

And with it came a profound inversion: money could now be created without any giving. Power could now be exercised without any beholdenness.


As the original force of money—energy of voluntary sacrifice— was stripped away, they filled the void with phantom called “value.” And soon, the record of gratitude was replaced with the ledger of debt — indebtedness enforced by violence and law.


Credit — once another name for beholdenness — was now redefined. No longer a “negative(-) wealth”, it became an asset-like command over others as a “positive(+) wealth”. Thus, money ceased to be a symbol of appreciation and became a command of obligation — not a bridge of relationship, but a tool of subjugation.


Like sunlight mistaken for the sun itself, money is not wealth. Yet we still bow before false suns and hollow riches. 

 

IV.    The Declaration: Restoring Beholdenness and Opening the Gate of Infinite

We ask again: What is money?


We declare: Money is the memory of someone’s voluntary giving. It is the trace of beholdenness — nothing more, nothing less.


Humans are both private and public beings. Currency must serve as a medium of relational energy — not a substance of power.


We declare the restoration of the ethics of credit. Credit is not a number, but one of the deepest and most delicate promises shared between human beings. It breathes and grows only through gratitude and responsibility, through care and the giving-and-regiving of one another. 


On this ethical foundation — through beholdenness to one another in gratitude — we pledge to rebuild finance, to reimagine the economy as a living circulation of creativity, and to shape a society where empathy and trust are not exceptions but the rhythm of everyday life.


What we seek is not a new currency. What we seek is a new architecture of relationship — one grounded in trust and care. Finance should mediate human connection, and credit should record not risk, but human stories and possibilities.


We reject: All structures of indebtedness that use money to dominate others, and every violent system that manipulates the phantom of “value.”


We recover: The circular flow of generosity and gratitude.


We build: A non-political, non-coercive, and non-extractive monetary system fit for the digital age.


The sun does not charge us for its light. No one pays to bask in sunshine. Light belongs to no one, and no one may hoard it.


Records are not wealth. Trust cannot be printed. Gratitude cannot be stored, only shared. Yet these — and these alone — are the forces through which true wealth flows.


We will remember Shinshi again. And through beholdenness to one anotherwe shall open the Gate of the Infinite.


“A new currency presupposes a new human being. And a new humanity will create a new currency.”

Saturday, June 21, 2025

디지털 시대를 위한 Money Power 선언문

화폐의 본질을 잊고 사는 우리들 자신에게

서문우리는 어디에서 길을 잃었는가

오늘날 인류는 숫자와 데이터로  전자 신호를 ‘화폐 부르며그것이  ()이며 권력이라 믿는다지폐와 동전은 그림자에 불과하며우리의 모든 교환은 디지털 신호와 기록에 의존한다.

그러나 인류는 잊었다화폐는 본래 누군가의 배려와 나눔 '타인을 위해 자신의 것을 기꺼이 포기한 베풂의 행위'를 기억하기 위한 증표였다는 사실을. 그리고 그것은 마음에서 우러난 신세짐(beholdenness)’ 기록이었고 기록을 통한 관계의 맥락이 바로 '() 순환'이었다는 것을.

이제 우리는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왜 우리는 ‘신세짐(beholdenness)’을 잊고‘신세지움(indebtedness)에 길들여졌는가?

그 해답은 생명의 기원즉 인간 존재가 안고 있는 구조적 결핍에서 비롯된다지구 생명의 진화 속에서 식물은 엽록체를 통해 스스로 에너지를 생성하지만동물은 외부 유기물을 섭취한 뒤 미토콘드리아를 통해 이를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는다.

인간 역시 이러한 ‘종속 영양’ 구조 속에서 태어났으며존재 자체가 결핍이었기에 생존을 위해 타인의 몫을 탐하고약탈을 정당화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결핍은 단지 생물학적 한계를 넘어내면 인식의 한계로 고착되었고문명은 경쟁과 소유강탈을 전제로 하는 ‘종속경제’라는 구조를 만들어냈다.

그 구조의 심장부에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작동해온 ‘화폐’가 있었다그것은 더 이상 '()라는 에너지의 선순환'을 가능케 하는 '신세짐(beholdenness)’의 증표가 아니라‘신세지움(indebtedness)’이라는 권력의 도구로 변질되었다.

환웅의 통찰신시(神市)의 기억

그러나 약 6천 년 전인류의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한 이들이 있었다그들은 하늘을 이은 환웅의 가르침을 따르던 조상들이었다.

그들은 깨달았다결핍은 외적인 실체가 아니라내면 인식의 한계에 불과하며 풍요와 충만은 배려와 나눔 속에서 비로소 실현된다는 것을.

그리하여 그들은 새로운 길을 열었다. '신세짐(beholdenness)'이라는 윤리적 감정을 중심으로 한 관계의 회로,  기꺼이 포기함 그에 대한 감사가 자연스럽게 순환되는 에너지의 회계 시스템바로 신시(神市)라 불리는 찬란한 순환경제를 구현하였다. 

그 경제의 중심에는 ‘배려와 나눔을 위한 기꺼이 포기함의 기록’즉 ‘신세짐(감사)의 증표가 있었다그 증표는 소유가 아닌 기억이었고강탈이 아닌 선물이었으며물건이 아닌 기록이었다예컨대공동체 내에서 베푼 음식이나 노동이 훗날 보살핌으로 되돌아오는 방식처럼증표는 단지 그러한 관계의 흐름을 기록하고 상기시키는 도구에 불과했다.

그것은 곧“나는 타인을 위해 기꺼이 포기했다그러니 당신도 누군가를 위해 기꺼이 포기할 것이다.”라는 관계의 믿음과 약속이었으며바로 그 신뢰와 순환이 공동체의 부()를 이루는 본질이었다.

화폐의 전도: ‘신세짐에서 ‘신세지움으로

그러나 문명은 다시 그 길을 잃었다. ‘신세짐(감사)’의 증표를 발행하는 주체가 개개인들로부터 소위 ‘믿을 만한 기관에 위임되어 소수 권력자들에 의해 독점되는 순간그것은 공동체의 약속에서 권력의 도구로 전락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위조 방지라는 기술적 명분을 내세웠고이후에는 ‘공공 신뢰를 핑계로 증표 발행 권한을 자신들만의 손아귀에 집중시켰다.

결국기꺼이 포기함 없이도 화폐를 발행할  있게 되었고감사의 순환 없이도 타인을 조종할  있는 수단생겨났다.

증표가 지녔던 본래의 힘기꺼이 포기함에 대한 감사의 에너지이 왜곡과 독점으로 사라지자그들은 그 빈자리를 메우기 위해 ‘가치라는 유령을 만들어냈고그 자리는 ‘신세지움(indebtedness)이라는 강압과 폭력으로 채워졌.

이 ‘신세지움(indebtedness)’은 본래 ‘신세짐(beholdenness)’의 또 다른 이름이었던 ‘신용’즉 아직 실현되지 않은 잠재적 가능성인‘음(-)의 부()실물 자산처럼 공간을 점유하는 ‘양(+)의 부()로 바꾸어 놓았다그 결과 화폐는 더 이상 감사의 기록이 아닌 채무의 명령서가 되었고관계를 잇는 매개가 아닌종속과 수탈을 정당화하는 정치화폐로 전락했다.

마치 햇빛이 태양  자체는 아니듯화폐라는 증표 또한 ()  자체는 아니다그러나 인류는 여전히 거짓 태양과 거짓 () 앞에 머리를 조아린다.

선언과 결어신세짐의 회복무진장(無盡場)의 문을 열며

우리는 다시 묻는다화폐란 무엇인가?”

우리는 선언한다화폐는 누군가가 기꺼이 포기한 () 대한 감사의 기억 신세짐(beholdenness)’ 흔적이며 기록뿐이다인간은 사적인 존재이자 동시에 공적인 존재이다. 화폐는 ‘관계라는 공적 차원에서 에너지의 생성과 순환을 매개하는 매질(媒質)일 뿐 자체로는 어떠한 실체적 힘도 지니지 않는다.

우리는 '신용의 윤리'를 회복할 것을 선언한다신용이란 인간 사이에서 나누는 가장 깊고도 섬세한 약속이며그것은 감사와 책임배려와 나눔의 관계를 통해서만 살아 숨 쉬며 자라날 수 있다우리는 이 선언을 바탕으로‘서로가 서로에게 신세짐’이라는 윤리적 토대 위에 금융을 재구성하고창조적 순환이 이루어지는 경제그리고 상호 신뢰와 배려가 일상이 되는 사회를 함께 이루어 갈 것을 다짐한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새로운 화폐가 아니다우리가 바라는 것은배려와 신뢰를 바탕으로 다시 짜여진 '새로운 관계의 설계'이다금융은 결국 인간관계를 매개하는 시스템이며신용은 숫자가 아니라 인간의 가능성과 그 서사를 기록하는 도구여야 한다.

우리는 거부한다화폐를 통해 타인을 지배하는 모든 ‘신세지움(indebtedness) 구조와, ‘가치라는 환영(幻影) 조작하는 모든 폭력 시스템을

우리는 회복한다. ‘기꺼이 포기함 ‘감사의 마음 중심으로 한 배려와 나눔의 순환 구조.

우리는 구축한다디지털 시대에 걸맞는 비정치적이며비강제적이고비약탈적인 통화 시스템.

태양은 어느 누구에게도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다예컨대 우리는 햇빛을 쬐는 데 요금을 지불하지 않는다햇빛은누구의 것도 아니며누구도  빛을 독점할  없다기록은 () 아니며신뢰는 인쇄할  없고감사는 저장되지 않는다그러나 바로 그것들이야말로 () 진정한 순환을 이끄는 이다.

우리는 다시 신시(神市)의 기억을 되살릴 것이다그리고 마침내서로가 서로에게 신세짐을 통해 무진장(無盡場)의 문을  활짝 열 것이다.

“새로운 통화는 새로운 인간상을 전제로 하며새로운 인간상은 새로운 통화를 창조할 것이다.”


PDF 파일 내려받기

Wednesday, December 21, 2022

견성(見性)과 돈?

물물교환의 불편함욕망의 이중적 불일치 문제 및 교환 비율을 결정할 표준의 부재을 해소하기 위하여 화폐가 출현하게 되었다는 그럴듯한 교과서적 설명을 뒷받침해주는 인류학적역사적 증거는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인류학자 David Graeber (1961-2020) '물물교환이 시간적으로 먼저 이루어지다가 후에 화폐가 출현했다'는 주장을 뒤집는 근거들이 훨씬 더 많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학은 여전히 이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면서화폐의 출현 이면에 깔려 있는 심오한 형이상학적열역학적 의미들을 간과하거나 혹은 애써 가리려 하고 있습니다정통과 이단을 막론하고경제학의 거두들은 자신들의 이론 구축에 무의식적으로 사용된 열역학적형이상학적 가정과 전제 외에 일체의 다른 접근과 비유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거나 허락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이에 대해 John Ruskin (1819-1900)은 다음과 같이 꼬집고 있습니다.

"인류 역사를 관통하며 지금에 이르기까지 대다수 인간들이 사로잡혀 있는 망상 중에서도 가장 기이한 것은'너와 나를 가르지 않음'에서 나오는 한마음(social affection)이 사회적 진보와 발전에 유익한 결과를 낳게 하는 사회적 규범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여기고 있는 것입니다소위 정치경제학이라고 불리는 현대 학문은 바로 이 망상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단도직입적으로돈 혹은 화폐의 본질은 '()' 입니다. ‘필요로 하지만(=수요지금 나에게 없는 것()’을 얻을 수 있게 해 주는(=공급) 마술과도 같은 입니다이는 단순 비유나 은유가 아니라, 수요를 드러내고 공급을 조직하여 연결 시켜주는 실질적인 소셜 미디어이자 ()라는 ‘에너지 변환과 흐름을 가속화 시키는 매질오직 ‘영혼을 동력으로 삼는 인간'에게만 허락된 현묘한 입니다

이 힘을 통해 인간은 '결핍' '고갈'이라는 현상계의 물리적 제약을 뚫고 '무진장(無盡藏)'으로 진입하여()으로서의 건강한 자기재생산 유지는 물론자신들 앞에 놓여 있는 물리적(physical)정신적 (metaphysical) 제약 요소들을 제거함으로써개개인들이 단순 생존(生存)을 넘어 저마다의 개성 넘치는 자유로운 존재로 현존(現存)을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전체 내용을 PDF 파일로 내려 받기